제목
봄철 해빙기 시설별 안전점검 요령 안내
작성부서
건설방재과
작성자
건설방재과
조회수
3397
내용
시 설 별 점 검 요 령
□ 건설공사장
【취 약 점】
○ 건설공사장내 안전조치를 소홀히 할 경우 공사장주변까지 재난이 확산될 우려가 높음
○ 공사 진행에 따라 수시로 재난위험 상황이 달라지기 때문에 공사 진행상황별 안전대책이 필요함
○ 최근 지상은 물론 지하까지 고밀도 이용에 따라 사고 발생시 대형사고로 확산될 소지가 높음
○ 경기침체와 자금난 등으로 공사중단 현상이 증가하면서, 이에 대한 안전관리를 소홀히 할 소지가 매우 높음
○ 지하굴착중 중단된 공사장은 해빙기에 지하수 유출, 기타 유입수 등으로 발생한 연약지반 붕괴위험
○ 동절기 기간중 중단되었던 공사를 재개함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
【중점점검사항】
○ 터널, 지하철, 건축물, 공동구, 상ㆍ하수도, 가스·전기·통신등 지하굴착 공사장 중점
○ 공사장주변 지반침하ㆍ균열 및 건축물 피해확인
○ H-Beam, 스트럽, 어스-앵커 등 흙막이공사 결함 확인
○ 지하굴착공사장의 붕괴위험 계측관리 상태
- 계측결과 나타난 결함사항 신속한 안전조치 이행여부
○ 콘크리트 타설전 거푸집 및 지주 변형 여부 체크 상태 확인
○ 가스, 전기, 통신, 상ㆍ하수도 등 지하매설물설치ㆍ관리기관과의 안전조치 협조 이행 상태
- 지하굴착 공사시 가스, 수도, 전기, 통신등 지하매설물에 대한 사전조사 및 안전조치
- 지하굴착 구간내 노출된 가스배관에 대한 안전조치
○ 공사장 주변 피해관련 민원발생 처리 상태
-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보상위주의 해결 여부
- 공사장주변 피해영향 구역에 대한 안전관리 이행여부
○ 암(岩) 발파용 화약류의 관리 상태
○ 공사장 주변 교통통제요원 배치여부
○ 차량추락, 충돌, 전복 등 사고위험요인 여부
- 보호망, 방호책, 낙하물 추락방지시설 등의 설치실태
- 야간 유도 조명시설등 안전시설
○ 현장소장등 일선 공사관계자 안전의식 수준
- 실효성 있는 안전교육, 점검체계 구축등
○ 강우에 대비한 공사장주변 배수 및 유입수 처리대책
○ 각급 공사장에서 사용하는 고압가스용기 안전관리 실태 등
□ 절개지ㆍ낙석위험지역
【취 약 점】
○ 겨울철 기간중 절개지, 암반 등에 생긴 동파(凍破) 부위가 해빙기를 맞아 확대될 우려가 높고
○ 동절기에 결빙되었던 토사ㆍ암반층의 약화로 붕괴위험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음
○ 상습 낙석우려지역에 대한 안전대책 소홀시 대규모 교통사고 등 재난발생 우려가 높으며
○ 낙석방지망 및 휀스 등의 안전시설이 미비한 경우 인명피해 위험
【중점점검사항】
○ 도로변 및 집단 취락지의 절개지ㆍ낙석위험지역 대상
○ 낙석방지망, 방지책 등의 안전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 상태
○ 위험지역 안내표지판 설치 상태
○ 순찰ㆍ유사시 대피계획등 대응체계 실태
- 사고조짐 사전발견체계, 이재민 수용시설 지정 등
○ 피해예상구역에 휀스ㆍ라바콘 등 접근 금지시설 설치여부
○ 상습 낙석위험지역 등에 감시요원 고정배치
○ 보수ㆍ정비를 위한 예산투자 계획 실태 등
□ 축대ㆍ옹벽
【취 약 점】
○ 축대ㆍ옹벽은 해빙기에 배면(背面)토사의 함수비(含水比)가 커짐에 따른 토압의 증가로 붕괴ㆍ전도(顚倒)위험이 높음
○ 건물ㆍ대지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절ㆍ성토부위에 설치된 축대ㆍ옹벽은 붕괴 및 전도시 인명과 재산피해 발생우려
【중점점검사항】
○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노후위험 축대 및 옹벽 대상
○ 상부 및 하단부에 침하 균열발생 상태
○ 배면수(背面水)제거용 배수구멍의 기능유지 상태
○ 위험지역의 접근금지ㆍ위험표지판 등 안전시설 설치 상태
○ 위험시설의 응급 보수ㆍ보강 등의 조치 상태
○ 산마루측구 등 배수시설 관리 상태
○ 상수도 배수지, 정수장 등에서 누수에 의한 주변 축대ㆍ옹벽 붕괴위험 상태 등
□ 기타 재난취약시설물
【취 약 점】
○ 해빙기에 발생하기 쉬운 사고분야의 특성을 감안하여 사고를 사전에 예측ㆍ대응 필요
○ 최근에 준공한 대형공사장(절ㆍ성토구간)ㆍ폐광지역에서의 지반침하 등에 따른 사고 위험
○ 지역별 특성에 맞추어 취약분야를 선정하여 점검실시
【중점점검사항】
○ 석산, 광산에서 폐석 등의 적치물 붕괴위험 여부
○ 폐광지역 지반 침하 우려지역 등 취약지역 점검 강화
○ 공원, 산림지역 등에 설치된 가스 정압시설의 안전실태
- 공원, 산림지역에서 화재발생시 대형사고 유발위험
□ 건설공사장
【취 약 점】
○ 건설공사장내 안전조치를 소홀히 할 경우 공사장주변까지 재난이 확산될 우려가 높음
○ 공사 진행에 따라 수시로 재난위험 상황이 달라지기 때문에 공사 진행상황별 안전대책이 필요함
○ 최근 지상은 물론 지하까지 고밀도 이용에 따라 사고 발생시 대형사고로 확산될 소지가 높음
○ 경기침체와 자금난 등으로 공사중단 현상이 증가하면서, 이에 대한 안전관리를 소홀히 할 소지가 매우 높음
○ 지하굴착중 중단된 공사장은 해빙기에 지하수 유출, 기타 유입수 등으로 발생한 연약지반 붕괴위험
○ 동절기 기간중 중단되었던 공사를 재개함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
【중점점검사항】
○ 터널, 지하철, 건축물, 공동구, 상ㆍ하수도, 가스·전기·통신등 지하굴착 공사장 중점
○ 공사장주변 지반침하ㆍ균열 및 건축물 피해확인
○ H-Beam, 스트럽, 어스-앵커 등 흙막이공사 결함 확인
○ 지하굴착공사장의 붕괴위험 계측관리 상태
- 계측결과 나타난 결함사항 신속한 안전조치 이행여부
○ 콘크리트 타설전 거푸집 및 지주 변형 여부 체크 상태 확인
○ 가스, 전기, 통신, 상ㆍ하수도 등 지하매설물설치ㆍ관리기관과의 안전조치 협조 이행 상태
- 지하굴착 공사시 가스, 수도, 전기, 통신등 지하매설물에 대한 사전조사 및 안전조치
- 지하굴착 구간내 노출된 가스배관에 대한 안전조치
○ 공사장 주변 피해관련 민원발생 처리 상태
- 안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보상위주의 해결 여부
- 공사장주변 피해영향 구역에 대한 안전관리 이행여부
○ 암(岩) 발파용 화약류의 관리 상태
○ 공사장 주변 교통통제요원 배치여부
○ 차량추락, 충돌, 전복 등 사고위험요인 여부
- 보호망, 방호책, 낙하물 추락방지시설 등의 설치실태
- 야간 유도 조명시설등 안전시설
○ 현장소장등 일선 공사관계자 안전의식 수준
- 실효성 있는 안전교육, 점검체계 구축등
○ 강우에 대비한 공사장주변 배수 및 유입수 처리대책
○ 각급 공사장에서 사용하는 고압가스용기 안전관리 실태 등
□ 절개지ㆍ낙석위험지역
【취 약 점】
○ 겨울철 기간중 절개지, 암반 등에 생긴 동파(凍破) 부위가 해빙기를 맞아 확대될 우려가 높고
○ 동절기에 결빙되었던 토사ㆍ암반층의 약화로 붕괴위험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음
○ 상습 낙석우려지역에 대한 안전대책 소홀시 대규모 교통사고 등 재난발생 우려가 높으며
○ 낙석방지망 및 휀스 등의 안전시설이 미비한 경우 인명피해 위험
【중점점검사항】
○ 도로변 및 집단 취락지의 절개지ㆍ낙석위험지역 대상
○ 낙석방지망, 방지책 등의 안전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 상태
○ 위험지역 안내표지판 설치 상태
○ 순찰ㆍ유사시 대피계획등 대응체계 실태
- 사고조짐 사전발견체계, 이재민 수용시설 지정 등
○ 피해예상구역에 휀스ㆍ라바콘 등 접근 금지시설 설치여부
○ 상습 낙석위험지역 등에 감시요원 고정배치
○ 보수ㆍ정비를 위한 예산투자 계획 실태 등
□ 축대ㆍ옹벽
【취 약 점】
○ 축대ㆍ옹벽은 해빙기에 배면(背面)토사의 함수비(含水比)가 커짐에 따른 토압의 증가로 붕괴ㆍ전도(顚倒)위험이 높음
○ 건물ㆍ대지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절ㆍ성토부위에 설치된 축대ㆍ옹벽은 붕괴 및 전도시 인명과 재산피해 발생우려
【중점점검사항】
○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노후위험 축대 및 옹벽 대상
○ 상부 및 하단부에 침하 균열발생 상태
○ 배면수(背面水)제거용 배수구멍의 기능유지 상태
○ 위험지역의 접근금지ㆍ위험표지판 등 안전시설 설치 상태
○ 위험시설의 응급 보수ㆍ보강 등의 조치 상태
○ 산마루측구 등 배수시설 관리 상태
○ 상수도 배수지, 정수장 등에서 누수에 의한 주변 축대ㆍ옹벽 붕괴위험 상태 등
□ 기타 재난취약시설물
【취 약 점】
○ 해빙기에 발생하기 쉬운 사고분야의 특성을 감안하여 사고를 사전에 예측ㆍ대응 필요
○ 최근에 준공한 대형공사장(절ㆍ성토구간)ㆍ폐광지역에서의 지반침하 등에 따른 사고 위험
○ 지역별 특성에 맞추어 취약분야를 선정하여 점검실시
【중점점검사항】
○ 석산, 광산에서 폐석 등의 적치물 붕괴위험 여부
○ 폐광지역 지반 침하 우려지역 등 취약지역 점검 강화
○ 공원, 산림지역 등에 설치된 가스 정압시설의 안전실태
- 공원, 산림지역에서 화재발생시 대형사고 유발위험
첨부파일
이전 글
다음 글